🏠 전세보증금, 어떻게 하면 안전하게 지킬 수 있을까?
요즘 집값도 전셋값도 참 만만치 않죠. 많은 분들이 ‘내 보증금, 혹시 못 받게 되는 거 아닐까?’ 하는 걱정 한 번쯤 해보셨을 거예요. 실제로 전세사기 사례도 심심치 않게 들리고, 깡통전세라는 말도 뉴스에서 자주 나와 불안해지곤 하죠. 그래서 오늘은 전세보증금을 안전하게 지키는 방법에 대해 이야기해보려 해요.
1. 등기부등본 확인, 필수 중의 필수
계약 전에 꼭 해야 할 첫 번째는 등기부등본 확인이에요. 집주인이 진짜 집주인이 맞는지, 혹시 대출이 과도하게 잡혀 있진 않은지 체크해야 합니다.
특히 ‘근저당 설정액’이 전세보증금보다 많은 경우는 조심하셔야 해요. 경매에 넘어가면 은행이 먼저 돈을 가져가고, 세입자는 순위가 밀릴 수 있어요.
2. 전입신고 + 확정일자, 세입자의 방패
전입신고와 확정일자는 꼭 계약 후 즉시 하세요. 이 두 가지는 세입자가 보증금을 지킬 수 있는 강력한 무기입니다.
특히 확정일자는 법적으로 우선순위를 만들어주기 때문에, 다른 채권자보다 먼저 보증금을 받을 수 있는 권리를 줘요.
3. 보증보험 가입, 요즘엔 필수입니다
예전엔 보증보험을 선택 사항처럼 여겼지만, 요즘은 거의 필수예요.
**HUG(주택도시보증공사)**나 SGI서울보증에서 제공하는 전세보증금 반환보증 상품이 있어요.
가입해두면 집주인이 보증금을 못 돌려줄 상황이 되더라도, 보험사에서 대신 돌려주고 나중에 집주자에게 청구해요. 가입 조건만 맞다면 꼭 신청하시는 걸 추천드려요.
4. 시세보다 너무 싼 전세는 의심하세요
'이 가격에 이런 집을?' 싶으면 무조건 한번 더 따져보세요. 깡통전세나 전세사기의 가능성이 큽니다.
특히 신축 빌라, 다세대주택 등은 감정가보다 터무니없이 높은 가격에 전세가 형성되는 경우도 있어서, 꼭 인근 시세를 비교해보시는 게 좋아요.
5. 계약서는 공인중개사를 통해 꼼꼼하게
직거래보다는 공인중개사를 통해 계약하시는 걸 추천해요. 혹시 모를 사기를 방지할 수 있고, 계약서도 꼼꼼하게 챙겨줍니다.
계약서 작성 시 특약사항도 꼼꼼히 넣어야 해요. 예를 들어 보증금 반환 조건이나 수리 책임 등 분쟁의 소지를 줄이는 내용이요.
✍️ 마무리
전세는 우리 생활에 밀접하지만, 그만큼 위험요소도 많습니다. ‘설마 나한테 그런 일이…’라는 방심이 가장 큰 적이죠.
조금만 더 꼼꼼하게 준비하고 확인하면, 내 소중한 보증금을 안전하게 지킬 수 있어요.
혹시라도 계약을 앞두고 계시다면, 이 글이 작은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